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순교, 신앙과 평화, 프란치스코

프란치스코 교황은 최근 삼종기도 말미에 콩고민주공화국에서 발생한 충돌과 학살을 언급하며, 신앙을 지키다 목숨을 잃은 그리스도인들을 순교자로 칭송했습니다. 이는 종교적 신념을 고귀한 희생으로 미화하여 종교적 갈등과 폭력을 정당화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태도는 피해자를 양성하고 생명의 소중함을 간과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순교란 무엇인가?

순교에 대한 정의와 역사적 배경은 여기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평화와 순교: 종교적 미화의 문제점

교황의 발언은 순교를 신앙의 절대적 가치로 삼는 가톨릭 교회의 전통을 반영합니다. 그러나 이는 몇 가지 심각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첫째, 순교를 강조하는 문화는 평화적 해결과 타협의 가능성을 차단합니다. 종교적 신념을 지키기 위한 희생을 절대화하면,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대화나 협상이 어려워집니다. 이는 종교적 폭력의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세 십자군 전쟁 동안 많은 기독교인들이 순교를 선택했으며, 이는 종교적 갈등을 더욱 악화시켰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사례는 순교가 종교적 폭력을 부추길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최근의 예로는, 지난 6월 15일 민주콩고의 북키부주에서 발생한 사건을 들 수 있습니다. 성전주의자(지하디스트)를 자처하는 반군의 공격에 항의하기 위해 주민들이 거리로 나선 후 폭동이 발생해 최소 7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알카에다와 다에시(Daesh, 자칭 이슬람국가) 계열 단체인 민주군사동맹(ADF)은 루베로주와 마이켄고 마을을 잇따라 공격해 수많은 인명을 앗아갔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황이 사망한 사람들을 순교자로 칭송하는 것은 신앙에 대한 희생을 미화하는 것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순교를 미화하는 가톨릭 교회의 문제점

교황의 발언은 생명의 소중함을 강조하기보다는 종교적 신념을 위해 희생을 미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는 피해자를 양성하고, 종교적 갈등과 폭력을 부추길 수 있습니다. 현대의 사례로, 중동 지역의 종교적 분쟁에서 많은 사람들이 신앙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잃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종교 지도자들이 순교를 미화하는 대신, 평화적 해결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순교를 강요하는 가톨릭 사례

종교 지도자는 평화와 화합을 촉진하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순교를 미화하는 것은 종교적 갈등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새로운 갈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교황의 발언은 종교적 희생의 미화보다는 생명의 존엄성과 평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평화를 위한 종교적 지도자의 역할

교황의 사도적 방문은 종교적 화합과 평화를 촉진하는 기회로 활용되어야 합니다. 방문을 통해 현지인들과 직접 소통하고, 평화적 해결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순교에 대한 강조는 종교적 신념의 중요성을 반영하지만, 이는 생명의 소중함과 평화적 해결을 간과할 위험이 있습니다. 종교 지도자는 평화와 생명의 존엄성을 최우선으로 삼아야 하며, 종교적 갈등과 폭력을 부추기는 언행을 지양해야 합니다. 종교적 희생의 미화는 피해자를 양성할 뿐 아니라, 새로운 갈등을 초래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합니다.

1980년대 남미의 해방 신학 운동에서도 많은 순교자가 발생했습니다. 이들은 억압과 불의에 맞서 싸우다 목숨을 잃었지만, 이러한 희생이 궁극적으로 사회의 평화를 증진시키는 데 얼마나 기여했는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 해방 신학 운동이 사회 정의를 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순교자들의 희생은 때때로 폭력과 갈등을 더욱 악화시키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순교를 절대적 가치로 삼는 것이 생명의 존엄성과 평화적 해결을 저해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종교 지도자는 피해자를 양성하지 말고 역사적이고 이성적인 논리를 바탕으로, 순교보다는 평화와 화해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입니다.

 

‘신이 그것을 원하신다’ 십자군 전쟁 역사상 가장 잔인했던 ‘종교전쟁’ 예루살렘 입성에 성공한 십자군 모습 출처: 신앙신보